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언어 폭발기 아이와의 소통법 – 3세 언어 발달의 이해

by 오든이 2025. 7. 17.

궁금한게 많아 엄마, 아빠만 쳐다보는 아이

 

“엄마, 이거 뭐야?”
“이건 왜 그래?”
“그건 내가 할 거야!”

3세가 되면 아이의 입은 하루 종일 쉴 틈이 없어요.
처음엔 반가웠던 아이의 말이, 어느 순간엔 질문 공세에 지치고,
무한 반복되는 말에 “조용히 좀 해!”라고 외치고 싶은 순간도 생기죠.

하지만 바로 지금, 아이는 인생의 가장 중요한 언어 창 창기를 지나고 있어요.
이 시기를 어떻게 지나느냐에 따라
아이의 사고력, 감정표현, 사회성까지도 크게 달라집니다.


3세는 ‘언어 폭발기’입니다

이 시기 아이들은 하루 평균 200~300개의 단어를 접하며
주어+동사 문장을 만들고, 질문도 많아지고, 상상언어를 쓰기도 해요.

  • “이건 뭐야?” – 질문 폭탄
  • “또 해” – 반복적 요구
  • “화났어!” – 감정 표현 시작

이 언어는 단순한 말이 아니라, 사고와 감정이 자라나는 과정이에요.


부모가 힘들어지는 이유는?

  • 끝없는 질문 → 정신적 피로
  • 같은 말 반복 → 인내심 테스트
  • 말보다 행동이 느림 → 시간 지연
  • 말투 따라하기 → 감정 도발(?)

하지만 이 시기의 언어는 아이의 뇌 안에서 새로 만들어지는 회로입니다.
이때 무시하거나 닫아버리면, 자신감과 표현력이 위축되기 쉽습니다.


어떻게 소통해야 할까?

1. 짧고 정확한 문장으로 반응하기

긴 설명보다 짧고 감각적인 문장이 효과적이에요.

 

2. 반문으로 대화를 이어가기

“넌 어떻게 생각해?”, “이건 뭐처럼 보여?”

→ 상상력과 사고를 자극하는 방법입니다.

 

3. 단어 확장 기법 사용하기

아이: “자동차!”
부모: “응, 빨간 자동차가 빠르게 달리고 있네.”

 

4. 실수해도 교정보다 반복

“삐까삐까 카가 가요”라고 해도
“응, 반짝이는 차가 지나가네~” 식으로 자연스럽게 되짚어주세요.


부모의 말투가 아이의 말버릇이 됩니다

  • “빨리 좀 해!” → “천천히 해도 괜찮아.”
  • “그걸 왜 또 해?” → “이게 재밌나 보구나.”
  • “안 된다고 했잖아!” → “지금은 안 되는 이유가 있어.”

반복되는 감정어휘는 아이의 정서표현력과 직결돼요.


오늘의 마음처방전

“아이의 말은 성장의 언어입니다.
잘못된 말보다 중요한 건,
그 말을 통해 나를 향해 다가오고 있다는 사실이에요.”

함께 보면 좋은 글


마무리하며

말이 많아졌다는 건, 세상을 더 알고 싶다는 뜻이에요.
그 속엔 나랑 연결되고 싶은 아이의 마음이 들어 있어요.
오늘도 아이의 말을 천천히 들어봐 주세요.